심리컬럼

마음의 힘이 되는 심리컬럼입니다

[2013.10.17] 위클리포커스 - 부부사과 컨설턴트 ‘얼굴 맞대고 사는 그들이 갈라진 사연’
2018/05/22 Read528




얼굴 맞대고 사는 그들이 갈라진 사연

 

가까운 사이일수록 작은 실수에도 사과할 줄 알아야 한다. 사과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행위다. 고개를 숙이는 행동 이상의 의미가 있다. 1024일은 사과데이를 맞이해 사과 하나로 부부 혹은 가족 간의 사과로 관계를 치유해보는 건 어떨까. 사과데이, 사과로 마음을 전하세요

 

글 김지영(스마트라이프디자인 에디터)

사진 Shutter Stock

도움말 양소영(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 02-557-9701)

 

 

얼굴 맞대고 사는 그들이 갈라진 사연

사회생활 술술 풀어주는 사과법 세상 그 어느 관계보다 끈끈한 가족이지만, 사과를 제대로 하지 못해 깨지는 관계도 많다. 부모가 자녀를 말로나 물리적으로 학대하고도 사과하지 않으면 자녀들은 부모에게 버림받았다는 느낌으로 성장한다. 부부 사이도 마찬가지다. 서로 거칠게 대하고 사과하길 거부하면 결국엔 헤어질 수밖에 없다. 행복한 결혼생활의 특징은 부부가 서로 상처 주었을 때 사과할 줄 안다는 데 있다. 상대방에게 사과의 언어로 말할 줄 안다면 사과를 통한 관계 회복이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Case1 변화 없이 반복되는 영혼 없는 사과

 

결혼한 지 10, 우리는 허구한 날 같은 문제로 언쟁을 벌여요. 대부분 부부들이 그럴 거예요. 나를 가장 난감하게 하는 건 남편에게 있는 음주문제죠. 종종 술을 마시고 실수를 하는데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며 사과는 하지만 그건 말뿐이죠. 술을 마시면 그런 행동을 반복한다는 거예요. 때때로 사과하는 남편을 보고 있자면 진심 없는 빈말 같고, 나를 존중하지 않는 것 같아 무척 화가 나요. 계속 이런 식으로 생활방식이 변하지 않는다면 결혼생활이 힘들지 않을까 싶어요.

 

Solution1 사과와 함께 변화의 의지를 알려라

 

뉘우침이라는 단어는 돌이킴 또는 마음을 바꿈을 뜻한다. 사과의 정황에서 그것은 자신의 현재 행동이 파괴적이었음을 깨닫는 것을 말한다. 뉘우침은 미안해요. 내가 잘못했어요. 어떻게 하면 용서하겠어요?’라고 말하는 것 이상이다. 어떤 이들은 사과의 진실성을 보여주는 것은 뉘우침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상처 입은 사람이 알고 싶은 것은 달라질 것인지, 아니면 다음에도 같은 행동을 반복할 것 인지다. 어떤 사람은 실제로 변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변화 의지를 말로 표현하길 꺼리지만 사과할 때는 무엇보다 당신의 변화 의지를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면 상대방은 당신이 진심으로 잘못을 자각함을 그리고 당신의 변화 의지가 확실함을 알게 되면 실제로 변화가 일어나기 전이라 할지라도 당신을 용서할 수 있다.

종이와 연필 그리고 하나의 사과. 종이와 연필은 사과하는 데 있어 솔직하고 감성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종이와 연필은 사과하는 데 있어 솔직하고 감성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Case2 ‘~않는다면전제 달린 사과

 

일이 자기 방식대로 풀리지 않아 화가 난 남편은 제게 폭언을 퍼붓고 사과는커녕 도리어 나를 비난하죠. 간혹 미안해라며 말하지만 하지만 당신이 나를 건드리지 않는다면 내가 화를 내지 않았을 거야라는 말을 꼭 덧붙여요. 마치 자신은 아무런 잘못도 저지르지 않는다는 것처럼 말이에요. 저는 제가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잘못하면 시인해요. 하지만 남편은 절대 그렇지 않죠. 자신이 아무리 노력해도 제 요구를 만족하게 해줄 수 없어서 그런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다는 반응을 보이거든요. 이런 일이 쌓이고 쌓이다 보니 이제는 관계에 있어 지치고 점점 실망감은 커질 수밖에 없죠. 마주하고 싶지 않을 정도의 부부관계로 고민이에요.

 

Solution2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는 사과를 하라

 

남편은 아내가 하는 이야길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그래서 험한 말을 내뱉는 방식으로 마음의 상처를 표현한다. 사실 이런 경우 둘 다 상처를 입었기 때문에 둘 다 사과해야 한다. 마음의 상처나 분노로 인해 관계가 손상될 때는 늘 사과가 요구된다. 하지만 문제는 둘 중 누구도 자신이 잘못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남편은 아내의 비난하는 듯한 말을 듣고 마음이 상했고, 아내는 남편이 뱉은 험한 말로 상처를 입었다. 하지만 아내에게 퍼붓는 말이 거칠긴 하나 문제 될 것이 없다며 정당화한다. 잘못을 인정하거나 사과할 필요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상대방이 내게 상처를 주었다는 이유로 상처를 입힌다면 그것은 전쟁을 선포하는 것과 같다. 승자가 없는 전쟁이다. 그래서 상대방의 마음에 상처를 주지 않고 화해의 여지를 남겨두는 방식으로 사과해야 한다. 물론 그에 앞서 자신의 잘못을 기꺼이 시인하고 용서를 구하는 것이 먼저. 자신의 행동이 잘못되었음을 인정하는 것이 사과의 가장 중요한 부분. 그리고 그것은 곧 관계를 회복하는 치유의 기회가 될 것이다.

 


Tip 양소영 소장이 말하는 부부 사과 컨설턴트

 

결혼 생활 내내 작은 일부터 큰일까지 나와는 그 어떤 의논도 하지 않는 남편. 그 일에 대해 사과 한마디 하지 않는 남편이 답답하고 나를 무시하는 것 같아 야속합니다.”

 

양소영 소장 Says_ 부부는 겉으로 크게 싸우지는 않지만, 속마음은 상대방이 절대로 변하지 않을 거라는 사실에 충분히 실망하고 체념한 상태입니다. 상대방에 대한 원망도 강해 함께 있는 자체도 불편한 사이가 되기 쉽죠. 결과적으로 점점 무심해지고 정서적으로 멀어지는 위기상황에 봉착하게 됩니다. 이럴 땐 하루쯤 둘만의 대화 기회를 얻자고 제안해보세요. 궁금한 점을 물어 솔직한 답을 듣고 갈등의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 부부싸움을 할 때 대개 누가 시작하고 며칠 동안 진행되며 누가 먼저 화해를 청하는지 생각해보면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을 겁니다. 먼저 화해를 청하고 먼저 사과를 하며 용서하는 사람이 부부 중 더 성숙한 사람입니다. 사과는 성숙한 사랑의 시작이니까요.

 

<이 기사는 삼성생명 스마트라이프디자인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기사입니다.>  


-복사 및 불펌 금지-